전체 글14 백색왜성 백색왜성, 별의 마지막 모습별도 사람처럼 태어나고 늙고 죽습니다. 우리가 아는 태양처럼 보통 별들은 마지막에 백색왜성이라는 작지만 단단한 천체로 남게 됩니다. 오늘은 백색왜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해보겠습니다.1. 백색왜성은 어떤 별일까백색왜성은 태양 정도 질량을 가진 별이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남기는 작은 별입니다. 크기는 지구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밀도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습니다. 쉽게 말하면, 태양과 비슷한 별이 다 쓰러지고 나면 남은 물질이 지구 크기로 쑥 줄어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태양을 농구공 크기라고 하면, 그 속에 있던 모든 물질이 과일씨 크기로 압축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런 압축 덕분에 백색왜성 속의 물질은 매우 촘촘하게 모여 있고, 전자라는 작은 입자들이 서로를 밀.. 2025. 8. 26. 거성가지 거성가지란 무엇일까밤하늘의 별들은 저마다의 삶을 살아갑니다. 우리 눈에는 똑같이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들은 태어나고 늙어가며 죽음을 맞이하는 긴 과정을 겪습니다. 그 과정 중 하나가 바로 ‘거성가지’라는 단계인데, 오늘은 이 개념을 쉽고 자세하게 풀어보겠습니다.1. 별의 진화와 거성으로의 변화별은 태어날 때부터 끝까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마치 사람이 성장하고 노화하는 과정이 있듯, 별도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의 에너지원과 구조가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별은 처음에 주계열성이라고 불리는 상태에서 오랫동안 빛을 냅니다. 이 단계에서 별은 중심에서 수소를 태워 헬륨으로 바꾸면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하지만 중심부의 수소가 점점 줄어들면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수소가 고.. 2025. 8. 26. 구상성단 구상성단 쉽게 이해하기밤하늘에는 서로 먼 거리에 흩어진 별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빽빽하게 모여 하나의 큰 별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별무리를 구상성단이라 부르며 우주의 역사와 은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구상성단이란 무엇인가구상성단은 수만 개에서 많게는 수백만 개까지 매우 많은 별이 좁은 영역에 모여 있는 별무리입니다. 전체 모습은 둥근 공과 비슷하며 크기는 사람의 감각으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큽니다. 그러나 성단 내부로 들어가 보면 별들의 간격이 일반적인 밤하늘에서 보는 별 간격보다 훨씬 가깝습니다. 서로의 중력이 단단히 얽혀 있어 오랜 세월 동안 무리를 이룬 채로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런 안정성 덕분에 구상성단은 마치 고요한 실험실처럼 별의 탄생과 성장 그.. 2025. 8. 25. 플레어 태양 플레어 쉽게 이해하기하늘에는 잠깐 사이에 밝아졌다가 천천히 어두워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태양에서 일어나는 플레어는 우리 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이번글에서는 플레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플레어란 무엇인가플레어는 어떤 천체가 갑자기 밝기가 크게 커졌다가 서서히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많은 별이나 은하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지만 가장 잘 알려진 예는 태양에서 발생하는 태양 플레어입니다. 태양 표면에는 흑점이라고 부르는 어두운 영역이 보이는데 이곳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고 자기장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플레어는 주로 이 근처에서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이 지역에 에너지가 오랫동안 쌓였다가 어느 순간 빠르게 풀리기 때문입니다. 마치 휘감겨 있.. 2025. 8. 25. 일주운동 일주운동 쉽게 이해하기 밤하늘을 보면 별들이 마치 하늘을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 별들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스스로 돌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를 일주운동이라고 부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일주운동에 대해 알아보겠 습니다.1. 일주운동이란 무엇인가일주운동은 별들이 하늘에서 하루에 한 바퀴 도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별들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스스로 자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돌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별들은 반대로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늘을 거대한 둥근 천장, 즉 천구라고 가정하면 별들은 그 천구 위를 따라 원을 그리며 도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때 별들이 도는 중심은 북쪽 하.. 2025. 8. 25. 은하수 은하수는 인류가 오랫동안 바라보며 신비롭게 여겨온 밤하늘의 장관입니다. 맨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은하수의 모습은 사실 우리은하의 구조를 직접 눈으로 보는 것과 같습니다1. 은하수의 모습과 특징지구에서 바라보는 은하수는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희미한 띠의 형태로 관측됩니다. 이 띠는 마치 하늘을 가로지르는 하얀 구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별들이 모여 만들어낸 빛의 무리입니다. 밝은 띠 속에는 군데군데 어두운 줄무늬가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성간 물질과 먼지가 빛을 가려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은하수가 단순한 별들의 무리가 아니라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천체들이 공존하는 공간임을 알려줍니다. 밤하늘에서 은하수는 계절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경우 은하수는 여름철에 훨씬 밝.. 2025. 8. 24. 이전 1 2 3 다음